-
알쏭달쏭 헷갈리는 자동차용어 7 가지
-
작성일 2019-02-27 13:36글쓴이 관리자조회 : 1,732
-
이제는 생활 속에서 빠지지 않는 영어! 이제는 한글만큼이나 영어 또한 우리 생활 속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습은 자동차 분야에서도 해당되는데요. 특히 영어로 요약된 자동차 용어는 언뜻 알 것 같으면서도 암호 같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지요. 대수롭지 않게 넘길 수도 있지만, 내가 운전하고 자주 사용하는 자동차에 어떤 기능이 들어있고 그 기능이 어떤 이름으로 불리는지 알아둔다면 안전 운전을 하는데 더욱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오늘은 영어로 요약된 자동차 용어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ABS (Anti-lock Brake System) – 브레이크가 잠기지 않도록 해주는 장비
자동차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 안전장비가 된 ABS. Anti-lock Brake System의 약자로 브레이크가 잠기지 않도록 도와주는 장비입니다. 1초에 10회 이상 순간적인 속도로 브레이크를 잡았다 풀었다 해주는 ABS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자동차는 끝 없이 미끄러지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2. ACC (Adaptive Cruise Control) – 위험 상황을 인식하고 긴급제동 해주는 충돌방지 시스템
어댑티드 크루즈 콘트롤, 혹은 적응식 정속주행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는 ACC는 Adaptive Cruise Control의 약자로 레이더와 카메라 등의 센서를 통해 설정된 속도에 맞춰 전방 차량과의 안전거리를 유지하고 위험을 감지해 긴급 제동하는 충돌방지 시스템인데요. 차선 유지 및 이탈방지, 정차 후 다시 출발하며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2 단계의 초보적 반자율주행 시스템입니다.
3. EPB (Electronic Parking Brake) –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Electronic Parking Brake의 약자인 EPB는 전자식 주차 시스템이라고도 소개할 수 있는데요. 정차 중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고 있어도 차량이 앞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주차 상태를 유지시켜줍니다. EPB는 기존 이용되던 와이어 방식과 달리 전자식으로 제어가 가능한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차량이 서 있을 시 컴퓨터가 브레이크의 동작 유무를 판단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만큼 잠겨 있게 된다고 하는데요. 이 시스템은 차가 막히는 도로에서 특히 유용하다고 합니다.
4. VDC (Vehicle Dynamic Control) – 차체 중심을 잡아주는 제어장치 시스템
Vehicle Dynamic Control의 줄임말인 VDC는 차체 자세 제어장치라고도 불립니다. 쉽게 말해 차를 미끄러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해주는 시스템이지요. 코너링 시 언더스티어(차량이 코너를 돌 때 스티어링휠을 돌린 각도보다 차량의 회전반경이 커지는 현상)가 발생하면, VDC 기능은 이를 감지하고 안쪽 또는 바깥쪽 바퀴에 제동을 걸어 자동차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주는 시스템입니다.
5. 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 타이어 공기압 체크 시스템
타이어 공기압 자동감지 시스템(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이라는 뜻의 TPMS. 타이어가 공기압을 체크해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인데요. 차량 타이어 내 민첩 동의 높낮이를 무선 센서 장치가 주행 혹은 정지 상태에서 차량 타이어의 압력과 온도 데이터를 측정해 이상이 발생할 시 운전석 내 계기판에 알려줍니다.
6. TCS (Traction Control System) – 타이어가 공회전하지 않도록 차량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시스템
이제는 자동차에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는 기능 중 하나가 TCS인데요. Traction Control System의 약자인 TCS는 젖어있는 노면에서 타이어가 미끄러질 경우나 좌우 타이어의 회전수가 차이가 있을 때, 타이어가 펑크 났을 때 작동하는 시스템입니다. 구동 바퀴가 미끄러지는 것을 컴퓨터가 탐지하면 자동으로 엔진 출력을 떨어뜨려 휠 스핀을 방지하고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해주는데요. 코너링 시에는 한쪽 타이어가 헛도는 것을 방지해준답니다.
7. ECU (Electronic Control Unit) - 자동차의 엔진, 자동변속기, ABS 등의 상태를 컴퓨터로 제어하는 전자제어 장치
이미지 출처 : http://moneybada.tistory.com/425
Electronic Control Unit이라고도 불리는 이 용어는 전자제어장치의 약자인데요. 사람으로 치면 두뇌와 같은 역할을 하는 ECU는 점화시기와 연료분사, 공회전, 한계값 설정 등 엔진의 핵심 기능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은 물론, 최근에는 차량과 컴퓨터 성능이 발전함에 따라 자동변속기 제어를 비롯해 구동계통, 제동계통, 조향계통 등 차량의 모든 부분을 제어하는 역할까지 해주는 똑똑한 장치이지요.
9. 차로 유지 보조 (Lane Following Assist) – 주행 중 안정적으로 차선을 유지해주는 역할
차로 유지 보조 역할의 LFA(Lane Following Assist)는 차량이 차로 안쪽에 있고 양쪽 차선이 모두 인식된 상태에서 운전자의 급격한 방향전환이 없을 경우 차로 유지 보조 시스템이 조향 보조 상태로 바뀌게 됩니다. 이때는 스티어링 휠 제어를 통해 운전자의 차로 유지를 보조해주죠. 만약 차로가 인식되지 않는다면 앞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제한적으로 스티어링 휠을 제어한답니다.
10. 후석 승객 알림 (Rear Occupant Alert) – 운전자 하차 시 아이의 자동차 탑승 여부를 감지해 경보음과 메시지를 운전자에게 발송하는 기술